728x90

Exchange 2016: Deny External Access to EAC

 

Security has been the key with this growing cyber-attack world. So my customer asked to block external ECP access. Here is how we implemented this.

We have following options and my views on it.

  • Block at the url https://url/ECP at the Firewall or Load Balancer level

This sounds a good option except not every firewall or load balancer do it. We also need to involve network team.

  • Block the AdminEnabled in the ECP Virtual Directory property.

This is new feature but this block internal access as well. So not a nice option. The following cmdlet can be used to apply this.

Set-ECPVirtualDirectory -Identity “Servername\ecp (default web site)” -AdminEnabled $false

 

  • Block the AdminEnabled in the ECP Virtual Directory property with new server which will be used for ECP access.

Adding another server which will use some hardware resources in virtualized setup or a new hardware server + Windows and Exchange License cost to access ECP is never a recommendation. At the same time, it gives you full isolation.

  • Remove External URL on the ECP Virtual Directory

Removing Externalurl does not stop the external access unless we also block OWA. So this is not an option.

  • Allow only LAN IP Address range on the ECP Virtual Directory from IIS Manager.

Allow only the LAN IP address range sounds a reasonable option to me. Here is how we configure this.

Step 1. Login to your Exchange server and Open IIS Manager

Step 2. Browse down to “Default Web Site” à ECP

 

Step 3. Double click on “IP Address and Domain Restrictions”

 

Step 4. Click on “Add Allow Entry”

 

Step 5. Add IP or Range then click Ok

 

It is not done yet. So have some patience

Step 6. Click on “Edit Feature Settings”

 

Step 7. In “Access for Unspecified clients” Select Deny and in “Deny Action Type” we can “Not Found” or any other option.

 

Step 8. Do the IIS reset.

Now we are done. Only the assigned IP Range users can see it.

 

Are you concerned if your users can still access options which used to take the user to /ecp vdir to get the out of office and other options?

This has changed in Exchange 2016. In Exchange 2016 Options will use the following url and not https://url/ECP

So if you are on Exchange 2013 then do not follow this blog until you see the users option url change in Exchange 2013.

In Exchange 2016 Options will take us to the following url.

https://mail.domain.com/owa/#path=/options/mail

 

728x90
728x90

CCPA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는 캘리포니아 시민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특정 사업체에 적용되는 새로운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법입니다. 새로운 법은 2020 년 1 월 1 일부터 시행됩니다.

Google은 이미 유럽의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 (GDPR)에 따라 데이터 보호 조건을 제공합니다. 또한 현재 2020 년 1 월 1 일부터 CCPA에 따라 기존 데이터 보호 조항 (CCPA를 반영하여 개정)을 보완 할 서비스 제공 업체 약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계약 및 업데이트 된 플랫폼 계약 고객에게는 서비스 제공 업체 약관이 적용됩니다. 데이터 보호 조건을 통해 기존 계약에 통합됩니다. 이러한 고객의 경우 계약에 서비스 제공 업체 조건을 추가하기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업체 약관은 파트너가 제한된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하는 새로운 도구와 함께 제공됩니다. 제한된 데이터 처리는 파트너가 CCPA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주기위한 것입니다. 일부 파트너는 CCPA 옵트 아웃 링크를 클릭하는 사용자에게 제한된 데이터 처리 신호를 보내도록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파트너는 제품 제어를 통해 캘리포니아의 모든 사용자에 대해 제한된 데이터 처리를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제공 업체 약관에 따라 제한된 데이터 처리 활성화가 된 동안 처리 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CCPA 서비스 제공 업체로 활동(act)합니다. 제한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제한된 데이터 처리가 CCPA 준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려면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제한된 데이터 처리 사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d Manager, AdMob, 애드 센스 도움말 센터를 참조하십시오. Google 데이터 개인 정보 취급 방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privacy.google.com/businesses를 참조하십시오. 이 업데이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계정 팀에 문의하거나 Ad Manager, 애드 센스 또는 AdMob 도움말 센터를 통해 문의하십시오.

728x90
728x90

Just like Lync 2010, some Lync 2013 client settings are held in the registry. This post goes over the registry keys

Keys Under Lync: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Key
AddToFirewallExceptionList
AllowOverridingDeviceAtJoinTime
AutoOpenMainWindowWhenStartup
AutoSignInWhenUserSessionStarts
AwayThreshold
CurrentUILanguage
DSBkgndMode
DuplicatePrimaryMonitorPresentingSetting
EnableBHOSmartTags
EnableEventLogging
EnableTTY
EndPointLocation
FirstRun
FtReceiveFolder
GCWithRosterTabbedFrameWidth
GroupContactsBy
IdleThreshold
IMGCNoExtensionTabbedFrameWidth
IMLargeExtensionTabbedFrameWidth
IMMediumExtensionTabbedFrameWidth
IsConversationStatePreservationEnabled
IsOneLineTabList
JoinAudioConferenceFrom
LastDialedNumber
LyncEntryName
LyncName
MinimizeWindowToNotificationArea
MTTA
MTTF
MTTT
MusicOnHoldAudioFile
MusicOnHoldDisabled
NotSendingSignInTracing
OCTelephonyMode
playSoundFeedback
SavePassword
ServerSipUri
ServerUsername
ShowContactFriendlyName
ShowContactStatus
ShowEmoticons
ShowFavoriteContacts
ShowPhoto
ShowUserConsentForAutomaticSendTracing
SortContactsByName
suspendSoundWhenBusy
suspendSoundWhenConversationWindowInForeground
suspendSoundWhenDND
TracingLevel
TwoLineView
WindowMax
WindowRect

 

Keys Held under the account:

<img style="display: inline; border: 0px;" title="image" src="https://149371380.v2.pressablecdn.com/wp-content/uploads/2012/11/image_thumb9.png" alt="image" width="640" height="332" border="0" /> #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user.name@domain.com

Key
Conversations
Dismissed DelegatorList
Dismissed RgsList
Last DelegatorList
Last RgsList
Outstanding DelegatorList
Outstanding RgsList
PreferredGeometry
TrustModelData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Autodiscovery

Key
cacheVersion
ExternalAvailabilityServerUrl
ExternalBasicEcpUrl
ExternalEcpPhotoUrl
ExternalEcpUrl
ExternalEwsUrl
ExternalOofServerUrl
ExternalPhotoUrl
ExternalServerVersion
ExternalTimeToLive
InternalAvailabilityServerUrl
InternalBasicEcpUrl
InternalEcpUrl
InternalEwsUrl
InternalOofServerUrl
InternalPhotoUrl
InternalServerVersion
InternalTimeToLive
TimeStamp
WasSoapBased
WasWsSecurityBased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BuddyListOldNotifications

Holds SIP Uris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ContactStateCacheU\sip:user.name2@domain.com\

Key
Name
ClickToCall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user.name@domain.com\DS

Key
DontShowCWCloseTabQuery
DSAppsharingGrantControlToSpecificPersonNotification
DSCLOSELSCONF
DSCLOSEVOICE
DSLogoutCloseConversations
DSStartAppsharingNotification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GroupChat\ma-chan:\\domain.com\b52c2524-eed6-48fa-9909-07d02e7922a7

Key
NewMessageRingtoneIndex
HighImportanceRingtoneIndex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GroupStateCacheU

Seems to contain a list of all contact groups and guids

HKCU:\Software\Microsoft\Office\15.0\Lync\

user.name@domain.com\LyncAutodiscovery

Key
cacheVersion
ExternalAuthServerUrl
ExternalSipServerUrl
ExternalTimeToLive
InternalAuthServerUrl
InternalSipServerUrl
InternalTimeToLive
TimeStamp
WebTicketServiceUrl

 

Update 19/9/2013: Richard has mapped some of the keys to the GUI here: http://masteringlync.com/2013/09/19/client-registry-keys/

728x90
728x90

TCP의 헤더에는 어떤 정보들이 담겨있는걸까?


저번에 HTTP/3는 왜 UDP를 선택한 것일까? 포스팅을 진행하며 TCP에 대해 간단한 언급을 했었지만, 해당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HTTP에서 사용하던 TCP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에 집중해서 이야기했었지만 이번에는 TCP 자체에 조금 더 집중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원래는 이 포스팅에서 TCP의 개괄적인 내용을 모두 다루려고 했으나 생각보다 양이 너무 많아서 몇 개의 포스팅으로 나누어 작성하려고 한다.(파도파도 끝이 없는 이 놈의 할배 프로토콜…)

그런 이유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TCP의 헤더 안에 들어 있는 필드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만 집중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OSI 7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로, 장비들 간의 통신 과정에서 정보를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 프로토콜이다.

컴퓨터 공학에서는 컴퓨터에게 가까운 부분일 수록 낮다거나 뒤에 있다는 표현을, 사람에게 가까운 높다거나 앞에 있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데, OSI 7계층에서도 마찬가지로 낮은 계층일수록 기계에 가까운 부분이고 높은 부분일수록 사람에게 가까운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때 우리에게 친숙한 HTTP, SMTP, FTP와 같은 프로토콜 친구들이 가장 높은 계층인 응용 계층에 위치한다. 그에 비해 더 낮은 계층에 존재하는 TCP, UDP, IP 같은 프로토콜들은 상대적으로 접할 일이 많이 없기는 하다.

이런 프로토콜들은 대부분 OS에서 알아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상위 계층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가 굳이 여기서 일어나는 일까지 하나하나 신경쓸 필요가 없기 떄문이다.

애초에 이런 레이어 모델들이 존재하는 이유 중에 이거다. 애초에 네트워크라는 것이 수많은 기술의 집약체인 만큼 한 명의 개발자가 모든 것을 다 알기는 힘들다. 그래서 각 계층 간 철저한 역할 분담을 통해 어떤 작업을 할 때 신경써야하는 범위를 좁혀주는 것이다.

덕분에 우리는 HTTP를 사용할 때 DNS는 어디를 사용할지, 패킷은 어떻게 처리할지 등 여러 가지 작업을 한번에 신경쓸 필요가 없다.

하지만 아무리 레이어가 나누어져 있다고 한들 하위 레이어에서 일어나는 일을 전혀 모르고 있다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는 아무 문제 없지만 하위 레이어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전혀 손도 못 대는 케이스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의 대략적인 작동 원리와 개요 정도는 알고 있으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며 그 동안 대략적인 몇 가지 특징으로만 알고 있던 TCP를 조금 뜯어보려고 한다.

TCP는 왜 만들어진걸까?

개인적으로 어떤 기술을 공부할 때, 무작정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게 왜 필요한 것인지를 알고 그 이유에 대해 공감하며 공부하는 편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TCP는 워낙 옛날에 나온 기술이니 당시 상황을 100% 공감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그래도 이 프로토콜이 개발된 이유를 살펴보면 당시 엔지니어들의 고충을 알아볼 수 있다.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해보자!

TCP는 방금 이야기 했듯이 1970년 냉전 당시 미 국방성이 개발하던 알파넷 프로젝트의 일부로 개발되었는데, 그 당시 알파넷을 연구할 때 관심을 가진 주제 중에 하나가 바로 핵전쟁이 나도 살아남는 네트워크였다.(핵전쟁의 상대방은 당연히 마더 러씨아…)

왜냐하면 1970년대의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계국이 폭격을 맞아서 박살나거나 중간에 연결된 선이 하나가 잘려나가면 그대로 통신이 끊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직접 보지는 않았지만 이런 느낌이지 않았을까…?


저 당시 중계국이 하는 일은 그냥 이거다. A가 중계국에 “B랑 연결해주세요!”라고 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케이블이 마구 꽂혀있는 패치 테이블에서 A 라벨이 붙은 구멍과 B 라벨이 붙은 구멍을 찾아서 케이블로 연결해준다.

말 그대로 회선을 교환하는 방식인 것이다. 저러다가 A가 C랑 통신하고 싶으면 B 구멍에서 케이블을 빼서 C 구멍에 꽂으면 된다.

이렇게 회선 교환 방식의 경우에는 통신을 하고 싶은 상대방과 물리적으로 회선을 하나 딱 잡아놓고 계속 통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선의 효율이 낮을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전화를 걸 때 상대방이 통화 중이면 상대방이 통화 중이니... 어쩌고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물론 회선을 독점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주르륵 보낼 수 있는 등의 장점도 있긴 하지만, 이때 미국에게 중요한 것은 핵이 터져도 끊기지 않는 연결이었기 때문에 하나의 회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연결이라는 건 큰 단점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패킷 교환 방식이다. 데이터를 하나의 회선을 사용하여 보내다가 해당 회선이나 중계국이 개박살나면 전송되던 데이터와도 영원히 이별하게 되니, 데이터를 잘게 쪼갠 후 여러 개의 회선을 통해 보내자는 것이다. 일종의 분산투자랄까.

 


이렇게 되면 노드 하나가 박살나도 모든 데이터가 유실되진 않을 것이다


최악의 경우 중간에 있는 회선이나 중계국이 박살나서 데이터가 약간 유실될 수는 있겠지만 전체 네트워크를 한 번에 타격하지 않는 이상 모든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은 적다. 또한 하나의 회선을 잡아놓고 계속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에 목적지를 마킹해놓고 그냥 보내기만 하면 되니, 회선의 사용 효율 또한 높아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미 국방성은 이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알파넷에 적용했고, 초기 테스트도 대성공하여 패킷 교환 방식의 실용성을 증명했다.

이후 몇 개의 대학과 군에서만 사용되던 알파넷이 대중들에게 공개되고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며 인터넷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덩달아 알파넷의 통신 프로토콜이었던 TCP도 함께 떡상하게 된 것이다.

패킷 교환 방식의 문제점

하지만 패킷 교환 방식도 당연히 만능이 아니기에,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우리가 TCP를 공부할 때 함께 따라오는 ARQ나 SYN, ACK 등의 개념들이 바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의 엔지니어들이 머리를 싸맨 결과인 것이다.

Q: 전송 중간에 패킷이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지거나 훼손되면 어떡해요?
A: 그럼 그 패킷만 다시 보내라고 해!(ARQ)

Q: 송신 측이 패킷을 쪼갠 순서를 알아야 수신 측이 재조립할 수 있겠는데요?
A: 그럼 순서번호를 패킷이랑 같이 보내!(시퀀스 번호)

Q: 수신 측이 처리할 수 있는 속도보다 송신 측이 패킷을 빠르게 보내버리면 어떡하죠?
A: 그럼 수신 측이 처리할 수 있는 양을 송신 측에 알려주고 그 만큼만 보내라고 해! (슬라이딩 윈도우)

TCP가지고 있는 많은 기능과 개념들은 마냥 글로만 봤을 땐 복잡해보이고 뭔가 외울 것도 많아보이지만,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기능들은 상대방이 보낸 세그먼트의 헤더에 들어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이 기능들을 하나씩 알아보기 전에 TCP의 헤더에는 어떤 정보들이 들어있고, 이 정보들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TCP의 헤더를 까보자

HTTP, TCP, IP와 같은 프로토콜들은 각자 자신이 맡은 역할이 있고,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에 자신의 헤더를 붙혀서 데이터의 정보를 표현한다.

TCP는 전송의 신뢰성과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역할을 맡고 있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TCP 헤더에도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값들이 담겨있다.

즉, 이 헤더를 보면 개괄적인 TCP의 기능들을 한 차례 쓱 훑어볼 수 있다는 말이고, 그런 이유로 필자는 TCP 포스팅의 첫 번째 스텝으로 헤더 까보기를 골랐다.

 




TCP는 여러 개의 필드로 나누어진 20 bytes, 즉 160 bits의 헤더를 사용하며, 각 필드의 비트를 0 또는 1로 변경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세그먼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20 bytes라는 것은 아무 옵션도 없는 기본적인 헤더일 때의 용량이고, TCP의 여러가지 옵션들을 사용하면 헤더 맨 뒤에 옵션 필드들이 추가로 붙기 때문에 최대 40 bytes가 더해진 60 bytes까지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럼 이 그림에 표기된 순서대로 각 필드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이 필드들은 세그먼트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필드로, 각각 16 bits 를 할당받는다. 이때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가 필요하다.

IP 주소는 당연히 한 계층 밑인 네트워크 계층에 있는 IP의 헤더에 담기기 때문에, TCP 헤더에는 IP 주소를 나타내는 필드가 없고 포트를 나타내는 필드만 존재한다.

Sequence Number

 




시퀀스 번호는 전송하는 데이터의 순서를 의미하며, 32 bits를 할당받는다. 최대 4,294,967,296 까지의 수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시퀀스 번호가 그리 쉽게 중복되지는 않는다.

이 시퀀스 번호 덕분에, 수신자는 쪼개진 세그먼트의 순서를 파악하여 올바른 순서로 데이터를 재조립할 수 있게 된다.

송신자가 최초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이 번호를 랜덤한 수로 초기화 하며, 이후 자신이 보낼 데이터의 1 bytes당 시퀀스 번호를 1씩 증가시키며 데이터의 순서를 표현하다 4,294,967,296를 넘어갈 경우 다시 0부터 시작한다.

Acknowledgment Number

 




승인 번호는 데이터를 받은 수신자가 예상하는 다음 시퀀스 번호를 의미하며, 32 bits를 할당받는다.

연결 설정과 연결 해제 때 발생하는 핸드쉐이크 과정에서는 상대방이 보낸 시퀀스 번호 + 1로 자신의 승인 번호를 만들어내지만,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는 상대방이 보낸 시퀀스 번호 + 자신이 받은 데이터의 bytes로 승인 번호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1 MB짜리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렇게 큰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수는 없으므로, 송신자는 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쪼개서 조금씩 전송해야한다. 이때 송신자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은 네트워크나 수신자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이긴 하지만, 그냥 100 bytes라고 가정해보자.

송신자는 첫 전송으로 100 bytes 만큼만 데이터를 전송하며 시퀀스 번호를 0으로 초기화한다. 시퀀스 번호는 1 bytes당 1씩 증가하기 때문에 첫 번째 바이트 뭉치는 0, 두 번째 바이트 뭉치는 1, 세 번째 바이트 뭉치는 2와 같은 순서로 매겨질 것이다.

즉, 이번 전송을 통해 수신자는 0~99까지 총 100개의 바이트 뭉치를 받았고, 그 다음 전송 때 받아야할 시퀀스 번호는 2가 아닌 100이 되는 것이다.

 


100 bytes 만큼 하나의 세그먼트로 묶어서 전송한다


tcpdump를 사용하여 패킷을 캡쳐해보면 실제로 송신 측이 보낸 데이터의 길이만큼 수신 측의 승인 번호가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송신 측이 보낸 세그먼트를 보면 시퀀스 번호가 seq 160:240로 찍혀있고, 수신 측은 자신의 승인 번호로 콜론 뒤 쪽의 값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시퀀스 번호의 형식은 n 이상:m 미만의 범위를 나타낸다. 콜론 뒤쪽의 번호는 송신 측의 시퀀스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수신 측이 저 번호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다.

즉, 승인 번호는 다음에 보내줘야하는 데이터의 시작점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ata Offset

 




데이터 오프셋 필드에는 전체 세그먼트 중에서 헤더가 아닌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가 어디부터인지를 표시한다.

이 오프셋을 표기할 때는 32비트 워드 단위를 사용하며, 32 비트 체계에서의 1 Word = 4 bytes를 의미한다. 즉, 이 필드의 값에 4를 곱하면 세그먼트에서 헤더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필드에 할당된 4 bits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0000 ~ 1111, 즉 0 ~ 15 Word이므로 기본적으로 0 ~ 60 bytes의 오프셋까지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옵션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는 필수로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값은 20 bytes, 즉 5 Word로 고정되어 있다.

이 필드가 필요한 이유는, 밑에서 설명할 옵션(Option) 필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Reserved (3 bits)

 




미래를 위해 예약된 필드로, 모두 0으로 채워져야 한다. 상단의 헤더 그림에도 그냥 0 0 0으로 찍혀있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Flags (NS ~ FIN)

 




9개의 비트 플래그이다. 이 플래그들은 현재 세그먼트의 속성을 나타낸다. 기존에는 6개의 플래그만을 사용했지만, 혼잡 제어 기능의 향상을 위해 Reserved 필드를 사용하여 NS, CWR, ECE 플래그가 추가되었다.

먼저 기존에 존재하던 플래그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필드의미

URG Urgent Pointer(긴급 포인터) 필드에 값이 채워져있음을 알리는 플래그. 이 포인터가 가리키는 긴급한 데이터는 높게 처리되어 먼저 처리된다. 요즘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ACK Acknowledgment(승인 번호) 필드에 값이 채워져있음을 알리는 플래그. 이 플래그가 0이라면 승인 번호 필드 자체가 무시된다.
PSH Push 플래그. 수신 측에게 이 데이터를 최대한 빠르게 응용프로그램에게 전달해달라는 플래그이다. 이 플래그가 0이라면 수신 측은 자신의 버퍼가 다 채워질 때까지 기다린다. 즉, 이 플래그가 1이라면 이 세그먼트 이후에 더 이상 연결된 세그먼트가 없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RST Reset 플래그. 이미 연결이 확립되어 ESTABLISHED 상태인 상대방에게 연결을 강제로 리셋해달라는 요청의 의미이다.
SYN Synchronize 플래그. 상대방과 연결을 생성할 때, 시퀀스 번호의 동기화를 맞추기 위한 세그먼트임을 의미한다.
FIN Finish 플래그. 상대방과 연결을 종료하고 싶다는 요청인 세그먼트임을 의미한다.

기존의 Reserved 필드를 사용하여 새롭게 추가된 NS, CWR, ECE 플래그는 네트워크의 명시적 혼잡통보(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ECN)을 위한 플래그이다.

ECN을 사용하지 않던 기존의 네트워크 혼잡 상황 인지 방법은 타임아웃을 이용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처리 속도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런 대기 시간 조차 아깝기 때문에, 송신자와 수신자에게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명시적으로 알리기 위한 특별한 매커니즘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ECN이다.

이때 CWR, ECE, ECT, CE 플래그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혼잡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데, 이 중 CWR, ECE는 TCP 헤더에 존재하고 ECT, CE는 IP 헤더에 존재한다.

필드의미

NS ECN에서 사용하는 CWR, ECE 필드가 실수나 악의적으로 은폐되는 경우를 방어하기 위해 RFC 3540에서 추가된 필드
ECE ECN Echo 플래그. 해당 필드가 1이면서, SYN 플래그가 1일 때는 ECN을 사용한다고 상대방에게 알리는 의미. SYN 플래그가 0이라면 네트워크가 혼잡하니 세그먼트 윈도우의 크기를 줄여달라는 요청의 의미이다.
CWR 이미 ECE 플래그를 받아서, 전송하는 세그먼트 윈도우의 크기를 줄였다는 의미이다.

ECN은 이 포스팅의 주제와는 또 다른 이야기이므로 궁금하신 분들은 MR.ZERO님의 Explict Congestion Notification? 블로그를 참고하길 바란다.

Window Size

 




윈도우 사이즈 필드에는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는 값을 담는다. 216=65535216=65535 만큼의 값을 표현할 수 있고 단위는 바이트이므로, 윈도우의 최대 크기는 64KB라는 말이 된다.

하지만 이 최대 크기는 옛날 옛적에 생긴 기준이라 요즘같이 대용량 고속 통신 환경에는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비트를 왼쪽으로 시프트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사이즈의 최대 크기를 키울 수 있는 방식도 사용하고 있으며, 몇 번 시프트할 지는 옵션 필드의 WSCALE 필드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Checksum

 




체크섬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값이다.

TCP의 체크섬은 전송할 데이터를 16 Bits씩 나눠서 차례대로 더해가는 방법으로 생성한다. 방식은 단순하지만 16 bits의 덧셈을 그대로 보자니 숫자가 너무 길어질 것이 뻔하므로 간단하게 반토막인 8 bits로만 한번 해보도록 하겠다.

   

앗, 8 bits인 두 수를 더 했더니 자리 수가 하나 올라가서 9 bits가 되었다. 이렇게 자리 수가 넘쳐버리면 체크섬 필드에 담을 수 없다.

이렇게 두 개의 수를 더했을 때 자리 수가 하나 올라간 부분을 캐리(Carry)라고 하는데, 계산 결과에서 이 부분만 떼어내서 다시 계산 결과에 더해주면 된다.

   

이런 방식을 Warp Around라고 한다. 이제 마지막 계산 결과에 1의 보수를 취해주면 체크섬이 된다. 1의 보수라고 하면 뭐지 싶겠지만 그냥 비트를 반전하면 된다.

   

이제 01110101이 이 데이터의 체크섬이 되는 것이다. 이 예제에서는 8 bits를 가지고 진행했기 때문에 8 bits짜리 체크섬이 나왔지만, 실제로는 16 bits 단위로 데이터를 잘라서 이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16 bits인 체크섬 필드에 딱 들어맞는 이쁜 값이 나온다.

수신 측은 데이터를 받으면 위의 과정을 동일하게 거치되 1의 보수를 취하지 않은 값인 10001010까지만 만든 다음, 이 값과 송신 측이 보낸 체크섬을 더해서 모든 비트가 1이라면 이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 값에 0이 하나라도 있으면 송신 측이 보낸 데이터에 뭔가 변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Urgent Pointer

 




말 그대로 긴급 포인터이다. URG 플래그가 1이라면 수신 측은 이 포인터가 가르키고 있는 데이터를 우선 처리한다.

Options

 




옵션 필드는 TCP의 기능을 확장할 때 사용하는 필드들이며, 이 필드는 크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변적이다. 그래서 수신 측이 어디까지가 헤더고 어디서부터 데이터인지 알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 오프셋 필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데이터 오프셋 필드는 20 ~ 60 bytes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고 했는데, 아무런 옵션도 사용하지 않은 헤더의 길이, 즉 Source Port 필드부터 Urgent Pointer 필드까지의 길이가 20 bytes이고, 옵션을 모두 사용했을 때 옵션 필드의 최대 길이가 40 bytes이기 때문이다.

만약 데이터 오프셋 필드의 값이 5, 즉 20 bytes보다 크지만 TCP의 옵션을 하나도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초과한 bytes 만큼 이 필드를 0으로 채워줘야 수신 측이 헤더의 크기를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옵션으로는 윈도우 사이즈의 최대 값 표현을 확장할 수 있는 WSCALE, Selective Repeat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SACK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거의 30개 정도의 옵션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친구들을 하나하나 설명하는 것은 조금 힘들 것 같다.

마치며

이렇게 간략한 TCP의 개요와 헤더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이 내용들은 TCP라는 놈의 껍데기 한 겹 정도에 불과한 내용이지만, 이게 거의 50년 묵은 프로토콜이다보니 포스팅 하나로 정리하기에는 내용이 굉장히 방대하다.

서두에서 이야기 했듯이 TCP나 IP 같은 프로토콜은 소켓 프로그래밍이라도 하지 않는 이상 직접적으로 마주할 기회가 흔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직접 마주하지 않더라도 필자는 매일 HTTP를 사용하는 웹 개발자이기 때문에, 자신이 매일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어떤 식으로 굴러가는 지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TCP가 커널에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직접 확인해보고싶은 분은 깃허브에 올라가있는 리눅스 소스인 linux/net/ipv4 안에 있는 구현체들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리눅스 소스 자체가 너무 커서 클론 받는 데 한 세월이라는 게 함정)

혹시 자신이 직접 TCP 통신 과정을 확인해보고 싶은 분은 간단한 TCP 예제 프로그램과 tcpdump, netstat 등의 유틸리티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tcpdump를 클라이언와 서버가 주고 받는 패킷의 내용을 확인해보고, netstat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TCP 상태를 확인해볼 수도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TCP의 핸드쉐이크나 흐름 제어, 혼잡 제어 기법에 대해서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다.

이상으로 TCP의 헤더에는 어떤 정보들이 담겨있는걸까? 포스팅을 마친다.

 

참고 : https://evan-moon.github.io/2019/11/10/header-of-tcp/

728x90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ZeroSSL에서 무료 인증서 발급받기  (0) 2022.12.23
MS Certification Road Map 2005  (0) 2015.08.25
728x90

222

 

 

 

333

728x90
728x90

조인이란?

두개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입니다. 자신이 검색하고 싶은 컬럼이 다른 테이블에 있을경우 주로 사용하며 여러개의 테이블을 마치 하나의 테이블인 것처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Primary key혹은 Foreign key로 두 테이블을 연결합니다. 테이블을 연결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칼럼은 서로 공유되고 있어야합니다.고등학교 수학시간때 배웠던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INNER JOIN

쉽게말해 교집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준테이블과 Join한 테이블의 중복된 값을 보여줍니다.

결과값은 A의 테이블과 B테이블이 모두 가지고있는 데이터만 검색됩니다.

--문법--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INN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예제--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 INNER JOIN JOIN_TABLE B ON A.NO_EMP = B.NO_EMP AND A.DEPT = B.DEPT

 

 

LEFT OUTER JOIN

기준테이블의 값 + 테이블과 기준테이블의 중복된 값을 보여줍니다.

왼쪽 테이블을 기준으로 JOIN을 하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결과값은 A테이블의 모든 데이터와 A테이블과 B테이블의 중복되는 값이 검색되겠네요

--문법--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LEFT OUT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 --예제--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 LEFT OUTER JOIN JOIN_TABLE B ON A.NO_EMP = B.NO_EMP AND A.DEPT = B.DEPT

 

 

RIGHT OUTER JOIN

LEFT OUTER JOIN의 반대입니다.

오른쪽 테이블을 기준으로 JOIN을 하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결과값은 B테이블의 모든 데이터와 A테이블과 B테이블의 중복되는 값이 검색되겠군요

--문법--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RIGHT OUT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 --예제--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 RIGHT OUTER JOIN JOIN_TABLE B ON A.NO_EMP = B.NO_EMP AND A.DEPT = B.DEPT

 

 

FULL OUTER JOIN

쉽게말해 합집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A테이블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 B테이블이 가지고있는 데이터 모두 검색됩니다.

사실상 기준테이블의 의미가 없습니다.

--문법--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FULL OUT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 --예제--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 FULL OUTER JOIN JOIN_TABLE B ON A.NO_EMP = B.NO_EMP AND A.DEPT = B.DEPT

 

 

CROSS JOIN

 

 

크로스 조인은 모든 경우의 수를 전부 표현해주는 방식입니다.

기준테이블이 A일경우 A의 데이터 한 ROW를 B테이블 전체와 JOIN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니 결과값도 N * M 이 되겠죠?

위사진에서는 A테이블에 데이터가 3개, B테이블에는 데이터가 4개가 있으므로 총 12개가 검색됩니다.

--문법(첫번째방식)--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CROSS JOIN 조인테이블 별칭 --예제(첫번째방식)--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 CROSS JOIN JOIN_TABLE B ===================================================================================== --문법(두번째방식)--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조인테이블 별칭 --예제(두번째방식)--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JOIN_TABLE B

 

 

SELF JOIN

 

 

셀프 조인은 자기자신과 자기자신을 조인한다는 의미입니다.

하나의 테이블을 여러번 복사해서 조인한다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칼럼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활용할 경우에 자주사용합니다.

--문법--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테이블 별칭,테이블 별칭2 --예제-- SELECT A.NAME, --A테이블의 NAME조회 B.AGE --B테이블의 AGE조회 FROM EX_TABLE A,EX_TABLE B

 

728x90
728x90

프로그래밍 언어중에서 조건에따라 작업방식을 달리 할 수 있는 조건문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문법이 IF문과 CASE문인데요.

MSSQL에서도 조건절인 CASE문과 IF문을 지원하니 한번 활용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CASE WHEN

가장 많이쓰이는 조건문입니다. 조건에 따라 값을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더보기

--CASE사용법--

CASE WHEN 조건절 THEN 참일때 값 ELSE 거짓일때 값 END 컬럼명

 

더보기

--테이블(MY_TABLE)에서 성별(GENDER)이 001이면 여, 그게아니면 남자로 검색--

SELECT DISTINCT GENDER, CASE WHEN GENDER = '001' THEN '여' ELSE '남' END AS 성별 FROM MY_TABLE

 

 

다중 CASE WHEN

더보기

--테이블(MY_TABLE)에서 성적(SCORE)별 학점을 계산

SELECT *,

(CASE WHEN SCORE>= '90' THEN 'A학점'

WHEN (SCORE>= '80' AND SCORE < '90') THEN 'B학점'

WHEN (SCORE>= '70' AND SCORE < '80') THEN 'C학점'

WHEN (SCORE>= '60' AND SCORE < '70') THEN 'D학점'

ELSE 'F학점' END) AS '학점'

FROM MY_TABLE

 

 

IF ELSE

같은 조건문입니다. CASE문과 마찬가지로 조건에 따라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IF 사용법--

IF 조건 참일때 값 ELSE 거짓일때 값 END 컬럼명

 

더보기


--@NUM 이 30일때 30이라고 출력, 40일경우 40이라고 출력, 아닐경우 아니라고 출력하기--

DECLARE @NUM INT

SET @NUM = 40 IF(@NUM = 30)

PRINT 'NUM은 30입니다.'

ELSE IF(@NUM=40)

PRINT 'NUM은 40입니다'

ELSE

PRINT 'NUM은 30이나 40이 아닙니다.'

 

 

728x90

'IT이야기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실습 SELECT, FROM, WHERE, BETWEEN, AND, IN, LIKE, ANY, ALL 등  (0) 2020.02.06
JOIN의 종류설명 및 사용법 & 예제  (0) 2019.10.29
SET NOCOUNT 사용법  (0) 2019.10.29
피벗테이블  (0) 2019.10.29
프로시저 사용법  (0) 2019.10.29
728x90

SET NOCOUNT란?

쿼리문 또는 프로시저의 영향을 받은 행 수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결과 집합의 일부로 반환되지 않도록 하는것

구문 : SET NOCOUNT{ON/OFF}

 

사용하는 이유

MSSQL에서 프로시저를 만들경우 프로시저의 속도(성능)에 대해서 생각을 안할 수 없습니다.

프로시저의 속도가 프로그램의 속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만큼

프로시저의 성능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쿼리문을 짜야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T NOCOUNT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쿼리문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SSQL에서 프로시저를 만들고 실행을 해보면

 

 

위와 같은 메시지를 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위 메시지는 INSERT나 UPDATE DELETE 처럼 테이블에 영향을 주게되면 출력이 됩니다.

하지만 위에 보이는 0개행이 영향을 받았다는 메시지는 전혀 필요가 없죠

괜히 메시지를 출력하는데 서버 부하만 걸릴뿐입니다.

이 메시지는 프로시저 시작점에 SET NOCOUNT ON이라는 문구를 삽입해줌으로써 제거해줄 수 있습니다.

 

예제

더보기

CREATE PROCEDURE PROC_NAME (

COMPANY NVARCHAR(7),--회사

NO_TRAN NVARCHAR(20), --전표번호

PLANT NVARCHAR(7), --공장

DT_TRAN NVARCHAR(8) --작업일 )

AS

BEGIN

SET NOCOUNT ON

INSERT INTO EX_TABLE(CD_COMPANY,NO_TRAN,CD_PLANT,,DT_TRAN) VALUES(@P_CD_COMPANY,@P_NO_TRAN,@P_CD_PLANT,@P_DT_TRAN)

SET NOCOUNT OFF

RETURN

END;

 

이렇게 해주면 1개의 메시지만 출력이 됩니다.

 

 

728x90

'IT이야기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OIN의 종류설명 및 사용법 & 예제  (0) 2019.10.29
조건문 (CASE WHEN, IF) 함수 사용법 & 예제  (0) 2019.10.29
피벗테이블  (0) 2019.10.29
프로시저 사용법  (0) 2019.10.29
저장 프로시져 내용 검색  (0) 2019.10.24
728x90

피벗테이블이란?

테이블을 조회한 데이터를 특정 데이터 컬럼으로 사용, 요약된 결과를 만들어 표시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를 좀 더 쉽게 볼 수있도록 출력 형태를 가공할때 사용합니다.

 

예제

피벗테이블을 활용하여 세로로 되어있는 칼럼을 가로로 바꿔보는 예제 (행을 열로 변환)

MM_TEST 테이블안에는 위와같이 DT(날짜),QT(수량)의 데이터가 10만개가 있습니다.

위 테이블의 월별 합계 수량을 가로로 나타내시오

 

해결방법

1. 테이블의 월별 합계 수량을 Select 합니다.

더보기

DECLARE @DT_FROM NVARCHAR(6) = '200802'

DECLARE @DT_TO NVARCHAR(6) = '200904'

SELECT MAX(DT) AS DT, SUM(QT) AS QT FROM MM_TEST

WHERE DT BETWEEN @DT_FROM AND @DT_TO

GROUP BY DT

ORDER BY DT

 

2. Select한 쿼리문을 피벗테이블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합니다. (행,열 전환)

더보기

DECLARE @DT_FROM NVARCHAR(6) = '200802'

DECLARE @DT_TO NVARCHAR(6) = '200904'

SELECT * FROM

( SELECT MAX(DT) AS DT, SUM(QT) AS QT FROM MM_TEST

WHERE DT BETWEEN @DT_FROM AND @DT_TO

GROUP BY DT )Q

PIVOT (

SUM(QT) FOR DT IN ([200802],[200803],[200804],[200805],[200806],[200807],[200808],[200809],[200810],[200811],[200812],[200901],[200902],[200903],[200904])

)P

 

 

3. 정적 피벗테이블을 동적 피벗테이블로 전환합니다.

더보기

DECLARE @DT_FROM NVARCHAR(6) = '200802'; --첫번째칼럼

DECLARE @DT_TO NVARCHAR(6) = '200904'; --마지막컬럼

DECLARE @DT_NO NVARCHAR(6); --칼럼(하나)

DECLARE @DT_LAST NVARCHAR(300); --합쳐진 칼럼(문자열)

SET @DT_LAST = '' --초기화

DECLARE MYCUR CURSOR FOR --커서 선언

SELECT A.DT FROM (

SELECT DT FROM MM_TEST

WHERE DT BETWEEN @DT_FROM AND @DT_TO

GROUP BY DT)A

ORDER BY DT

OPEN MYCUR

FETCH NEXT FROM MYCUR INTO @DT_NO

WHILE(@@FETCH_STATUS=0) --반복문

BEGIN

SET @DT_LAST = @DT_LAST + '['+@DT_NO+'],' --칼럼 합치기

FETCH NEXT FROM MYCUR INTO @DT_NO

END

CLOSE MYCUR

DEALLOCATE MYCUR --반복문 종료

SET @DT_LAST = LEFT(@DT_LAST, LEN(@DT_LAST)-1) --마지막 ,제거

EXEC('

SELECT * FROM( SELECT DT, SUM(QT) AS QT FROM MM_TEST

WHERE DT BETWEEN '+@DT_FROM+' AND '+@DT_TO+ '

GROUP BY DT )Q

PIVOT ( SUM(QT) FOR DT IN ('+ @DT_LAST +') )

AS P') --문자열 쿼리 실행

GO

 

피벗테이블안에는 동적으로 파라미터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피벗테이블 쿼리를 문자열로 만들어 그 문자열을 EXEC시켜주는 방식으로 동적 피벗테이블을 구현합니다.

 

최종 결과

 

 

728x90

'IT이야기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CASE WHEN, IF) 함수 사용법 & 예제  (0) 2019.10.29
SET NOCOUNT 사용법  (0) 2019.10.29
프로시저 사용법  (0) 2019.10.29
저장 프로시져 내용 검색  (0) 2019.10.24
MSSQL 함수 모음  (0) 2019.10.24
728x90

프로시저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프로시저란 프로그래머가 생성해놓은 쿼리문을 마치 하나의 메서드 형식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실무에서는 굉장히 복잡한 쿼리문을 많이사용해요.

많은 컬럼을 조회하고 여러 테이블을 조인하고 거기다가 WHERE조건까지...

심한것은 하나의 쿼리를 만드는데 1000라인이 넘어가는경우도 종종있어요.

이렇게 장문의 쿼리를 사용할때마다 써줘야한다면 굉장히 불편할거에요.

그러므로 이 장문의 쿼리를 프로시저에 저장해주고,

쿼리문이 저장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는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프로시저 사용법

프로시저 생성 문법

더보기

CREATE PROC [프로시저명] AS [쿼리문]

프로시저 생성 예제

더보기

CREATE PROCEDURE UP_EXPRO (

@P_COMPANY NVARCHAR(500),--회사코드

@P_BIZAREA NVARCHAR(500),--고객사코드

@P_PLANT NVARCHAR(500) --공장코드

)

AS BEGIN

SET NOCOUNT ON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AD UNCOMMITTED;

SELECT A.CD_SHOP, A.BIZAREA, B.NM_BIZAREA, FROM SA_Z_DZ_POS_SHOP_WJT A

LEFT OUTER JOIN BIZAREA B ON A.COMPANY = B.COMPANY AND A.BIZAREA = B.BIZAREA

WHERE A.CD_COMPANY = @P_CD_COMPANY AND( ISNULL(@P_CD_BIZAREA,'')='' OR @P_CD_BIZAREA = A.CD_BIZAREA)

SET NOCOUNT OFF RETURN END;

 

 

프로시저 1개 조회

더보기

sp_helptext [프로시저명]

전체프로시저 조회

더보기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ROUTINES

프로시저 삭제

더보기

DROP PROCEDURE [프로시저명]

 

728x90

'IT이야기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 NOCOUNT 사용법  (0) 2019.10.29
피벗테이블  (0) 2019.10.29
저장 프로시져 내용 검색  (0) 2019.10.24
MSSQL 함수 모음  (0) 2019.10.24
DB Collation 변경, SINGLE USER MODE  (0) 2019.10.23

+ Recent posts